분류 전체보기 (34) 썸네일형 리스트형 이석영 -사주첩경의 저자 자강(自彊) 이석영(李錫暎, 1920~1983) *, 1920년 평안북도 삭주 출생 *, 청주대 법대 졸업 *, 사주첩경의 저자 *, 한국역학교육학원의 창립자 사주첩경’의 저자 자강 이석영은 어떤 사람인가. 그는 1920년 평안북도 삭주군 삭주면 남평리에서 부농의 아들로 태어났다. 어린 시절부터 한학과 역학에 조예가 깊었던 조부 이양보(李陽甫)로부터 훈도받았다. 1948년 월남해 충북 청주에서 몇년간 살다 그후 서울로 옮겨 1983년 사망하였다. 자강이 본격적으로 명리를 연구하게 된 시기는 1948년 월남한 후에 생계 수단으로 명리를 보면서부터다. ‘사주첩경’ 6권은 1969년에 완성되었다. 1948년부터 대략 20년간의 연구와 실전체험을 정리해 저술한 것임을 알 수 있다. 근대역술의 빅3라 불리는 자강.. 원성왕의 꿈 신라 원성왕(?∼798. 재위 785∼798)의 꿈을 다룬 설화는 ≪삼국유사≫ 권2 원성대왕조에 실려 있습니다. 원성왕의 이름은 김경신(金敬信)입니다. 처음에는 이찬으로 있는 김주원(金周元)이 상재(上宰)에 있고 김경신은 각간으로 차재(次宰)에 있었으나, 어느날 꾼 꿈으로 인하여 왕위에 오르게 되었답니다. 김경신이 어느날 꿈을 꾸었는데 꿈에 복두(邏頭)를 벗고 흰 갓을 쓰고 십이현금(十二絃琴)을 들고 천관사(天官寺) 우물 속으로 들어간 꿈이었답니다. 이상한 꿈이어서 사람을 시켜 해몽을 하였더니, "복두를 벗은 것은 관직에서 떠날 징조요, 금(琴)을 든 것은 칼을 쓸 조짐이요, 우물 속으로 들어간 것은 옥에 갇힐 징조"라고 답하였답니다. 김경신은 이 말을 듣고 근심하여 두문불출하였는데, 그 때 아찬(阿飡).. 역학을 직업으로 사주 공부를 96년도에 시작하여 25년째고, 2004년 12월에 철학원을 시작했으니 업으로는 17년째입니다. 청춘에 공부 시작하던때도 엊그제 같고, 처음 개업할때도 엊그제 같은데 어느듯 세월이 흘러 몇년뒤면 환갑을 맞이합니다. 역학공부도 어렵고 역업은 더 어렵다고는 하지만 그래도 여기까지 온것을 보면 제가 역학에는 인연이 있었나 봅니다. 역업을 하며 온갖 상황을 다 겪어본 입장에서 이 정도면 이 분야에 대해 어느정도는 말할 자격은 된다고 생각되어 비로소 드리고 싶은 말은 '역학을 직업으로 삼지 말라'는 것입니다. 역업으로 먹고 사는 것은 정말 쉽지 않습니다. 시중에서 흔히 배우고 통용되는 수준의 역학지식으로는 절대 역업을 영위하지 못합니다. 소위 말하는 비결들도 별로 도움은 안됩니다. 아무리 공부해도 손.. 어느 선술집에 걸려있는 어느 선술집에 걸려있는 글 친구야! 이쁜 자식도 어릴 때가 좋고 마누라도 배꼽 밑이 즐거울 때가 부부 아니냐. 형제간도 어릴 때가 좋고 벗도 형편이 같을 때가 진정한 벗이 아니더냐. 돈만 알아 요망지게 살아도 세월은 가고 조금 모자란 듯 살아도 손해 볼 것 없는 인생사라 속을 줄도 알고 질 줄도 알자. 내가 믿고 사는 세상을 살고 싶으면 남을 속이지 않으면 되고 남이 나를 미워하고 싫어하면 나 또한 가까운 사람에게 가슴 아픈 말 한 적이 없나 주위를 돌아보며 살아가자. 친구야! 큰 집이 천 칸이라도 누워 잠 잘 때는 여덟 자 뿐이고 좋은 밭이 만 평이 되어도 하루 보리쌀 두 되면 살아가는데 지장이 없는 세상이니 몸에 좋은 안주에 소주 한 잔이고 묵은 지에 우리네 인생을 노래하세. 멀리 있는 친구보다 지금.. 신수보는법 신수보는 법 *, 비겁년에 발생하는 일. 1. 불신비방 시비논쟁 구설이 일어남. 2. 돈이 많이 나가며 금전 재산상 문제가 생김. 3. 부부간에 마찰이 생기고 남편이 외도 하거나 작첩한다. 4. 부친과의 관계가 소원해지고 ,형제,동료 간의 갈등 생김. 5. 양자 가거나 분가한다. 6. 동업을 권유 받는다. 비겁이 용신이면 1. 사업을 확장하거나,지점 분점을 내게되고 2. 대인관계가 원만해지며 매사 순성한다. 3. 형제나 친구의 도움을 받거나 형제 자매에게 경사가 생김. 비겁이 기신이면 1. 매사가 다체하고 사람들과 멀어진다. 2. 손재,실물하거나,겁탈 당한다. 3. 금전 재산상의 문제로 다툴일이 생긴다. 4. 형제자매와 친구동료로 인해 해를 입는다. 5. 부친을 극하고 조행상 과오를 범한다. 6. 남자는.. 사주의 투파이론 사부의 투파이론 강의록 명리학의 기본적 원리부터 새롭게 학습할 수 있는 자료를 올리려고 합니다. 明澄派(명징파)의 이론을 左藤六龍(좌등육룡)의 四柱推命活用秘儀(사주추명활용비의)와 동악재 선생이 정리한 투파이론을 Text로 하여 강의한 사부님의 강의록을 소개합니다. 1강. 天干合(천간합) 천간합은 陽干(양간)과 陰干(음간)의 음양배합이며 그 대상은 정관이나 정재와의 합입니다. 천간합은 서로가 서로를 껴안는다는 의미입니다. 그 작용은 합되는 두 기운의 상실을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합거의 현상을 말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기반이나 동결로 표현하기도 합니다. 천간합이 일어나 월령을 득하면 즉, 月令(월령)과 부합되면 化(화)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月令(월령)을 득하지 못하면 두 기운은 각각의 성분을.. 옥정요결 옥정오결(玉井奧訣) 사주(四柱)를 풀이하기 전에 먼저 사주풀이의 순서를 알아야 한다. 이 순서는 옥정오결(玉井奧訣)에서 가장 자세하게 설명하고 있다. 따라서 여기서는 옥정(玉井)의 글로 녹(錄)을 삼고, 전석문(銓釋文)으로 부(附)를 삼는다 비록 풍습에 근거를 두고 있으나, 먼저 제강(提綱)으로 우두머리를 삼아 한 걸음 한 걸음 닦은 다음에 암중모색하면 잘못된 길로 들어서지는 않을 것이다. 옥정오결(玉井奧訣)에서는 조화의 이치를 살필 때는 일주(日柱)를 위주로 하여 좌하(坐下)의 지신(支神)을 살펴야 한다고 했다. 옛사람들은 년(年)으로 본(本)을 삼고, 일(日)로 주(主)를 삼았다. 이것은 번거로움을 버리고 간편함을 취하고자 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현대인들은 먼저 좌하(坐下)의 지신(支神)을 살핀다... 세태단상 -디지털 점쟁이 [세태르포] 디지털 점쟁이가 몰려온다 성행하는 역술 비즈니스 ?디지털 점쟁이?가 몰려온다 원시적인 악습(惡習)? 미신(迷信)? 금기(禁忌)로까지 여겨지던 점술이 어엿하게 고부가가치 콘텐츠로 자리잡고 있으며 ?쪽방 수준?에서 이뤄지던 점술업이 기업화 대형화 바람을 타고 있다. 이정훈 hoon@donga.com '옥황선녀? ?사주.com? ?사주테라스? ?사주카페 필링?…. 서울 강남구 압구정동 갤러리아 백화점 맞은편 로데오거리가 ?점술밸리?로 변모하고 있다. 화려한 수입명품 매장과 세련된 고급 카페들이 들어선 골목길을 따라 20~30대 젊은이들을 대상으로 한 ?점카페?가 속속 들어서 현재는 50여 곳에 이른다. 점(占) 카페 ?사주공간?. 커피 한잔을 시키고 5분 남짓 기다렸을.. 이전 1 2 3 4 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