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친을 보는 법
육친이라고 하면 父母, 兄弟, 姉妹, 配偶, 子女를 뜻한다. 사주를 보고 그 사람의 육친을 알 수 있다. 부모는 어떤지, 유산이 많은지, 자수성가하는지, 처가 흉폭한지, 처가 현숙한지, 자녀는 몇 명을 두는지, 자녀는 출세하고 효도할 것인지 등의 수많은 사항을 사주를 통해 판단할 수 있다. 육친에 관한 사항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육친에 대한 연구를 하여야 한다. 육친론은 예로부터 학설이 분분한 분야라고 할 수 있고, 가장 곤혹스럽게 여기는 분야이기도 하다. 왜냐하면 사람의 길흉화복은 그 사람 자신에게 가장 절실한 문제인데, 육친은 그 자신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사주에서 그 사람 자신이 아닌 육친을 보는 것은 아주 정확한 것은 아니며 다소의 영향력이 있을 뿐이다.
제1절 육친을 보는 세가지 분야
육친을 판단하기 위해서는 주로 세가지 범주를 연구해야 한다. 즉 星(六神), 宮, 運이 그것이다. 星이란 육신을 육친에 배정시킨 것이고, 宮이란 사주의 위치에 따라서 육친을 배정시킨 것이고, 運이란 한운 또는 대운을 보고 육친을 판단하는 방법이다. 항목별로 설명한다.
① 星 - 일간은 사주의 당사자 즉 자기 자신이다. 비견과 겁재는 형제·자매를 뜻한다. 식신·상관은 일간이 生한 것이다. 여자의 사주에서 식신·상관은 자녀를 뜻한다. 식신은 딸, 상관은 아들이라고 하는 학설도 있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다. 식신이건 상관이건 음양을 보아 양은 아들, 음은 딸이라고 보는 것이 定說이다.
일간이 극하는 정재와 편재는 남자 사주에 있어서 정재는 正妻를 뜻하고 편재는 妾 또는 父親을 뜻한다. 여기서 妾이라고 함은 동거하는 여자 또는 두 번째 맞이한 처도 된다. 편재가 부친을 대표한다는 것은 것은 定說이다. 임철초는 인성이 부모를 대표한다고 보고, 어떤 사람은 정관을 부친으로 보기도 한다. 그러나 비견이나 겁재가 많은 사람이 일찍 부모를 여의는 것을 보아도 편재를 부친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며 그것이 역대 사주학 대가들의 정통적인 학설이었다고 할 것이다. 여자의 사주에서도 편재는 부친을 의미한다.
일간을 극하는 오행에는 정관과 칠살이 있다. 여자의 사주에서 정관은 남편이고 칠살은 情夫 또는 재혼하여 맞이한 남편이다. 사주에 정관이 없고 칠살만 있을 때는 칠살을 남편으로 본다. 남자의 사주에서 정관과 칠살은 자녀를 대표하는 성이다. 정관은 딸이고 칠살은 아들이라고 주장하는 학설도 있지만 이것은 옛사람들이 양일간이라고 전제하고 육신을 정한데서 유래한 결과이다. 즉, 양일간의 경우에는 정관이 딸이고 편관이 아들이 된다. 그러나 음일간의 경우에는 정관이 아들이고 편관은 딸이 된다.
일간을 생해주는 正印과 偏印은 육친으로는 무엇에 해당되는가? 남녀를 막론하고 正印은 生母가 되고 偏印은 계모, 義母, 養母가 된다.
이상에서 육신을 육친에 배정해 보았다. 그런데 논란이 되고 있는 것은 편재를 부친으로 볼 수 있는가, 관살을 자녀로 볼 수 있는 가 하는 두 가지 사항이다. 편재를 부친으로 보는 근거는 정인을 모친으로 본다는 전제 하에 형성된 것이다. 모친인 정인의 입장에서 보면 정관이 남편이다. 정인의 정관은 일간에게는 편재가 된다. 그러므로 편재는 모친의 남편이 되므로 결국 나의 부친이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官殺이 남자 사주에서 자녀가 되는 근거에 대해 살펴보자. 정재는 부인이다. 정재가 생한 것이 자녀가 된다. 따라서 정재가 생한 정관과 칠살은, 부인의 자녀이므로 나의 자녀가 되는 것이다. 여기서 우리는 육친을 정하는 두 가지 전제조건을 발견하게 된다. 즉 여자가 낳은 것이 자녀이고, 여자를 극하는 것은 그 여자의 남편이 된다는 것이다. 이것은 모계사회의 혈통을 따라서 오랜 역사와 함께 진행된 인류의 가족관계의 중심된 원리를 사주학에 배정시킨 것일 수도 있다. 임철초는 남녀를 막론하고 식상을 자녀로 보았다.
육신끼리의 생극관계에서 반드시 유의해야 할 두 가지 사항이 있다. 그것은 인성이 식상을 극하는 것과 비겁이 재를 극한다는 것이다. 여자 사주에서 식신·상관은 자녀를 뜻한다. 그러므로 여자 사주에 인성이 많으면 자녀에게 불리하다. 또 비겁은 재를 극한다. 남자 사주에서 재성은 처를 뜻하므로 비견·겁재가 많으면 부부불화하고 특히 일지가 기신이면서 비겁이면 극처·이혼·재혼·배신 등의 흉함이 나타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여자 사주에서는 재성이 있어서 인성을 제어함이 필요하고 남자 사주에는 관살이 있어서 비겁을 제압해 주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같은 사항은 일반적인 경우이고 인성 또는 비겁이 희신이나 용신이 될 경우에는 쉽게 속단하면 안된다. 사주학은 언제나 변화와 응용을 중요시하는 학문이다. 그러므로 재·관·인·식의 四吉神도 흉한 작용을 할 수 있고, 殺·偏印·傷官·羊刃의 四凶神도 특수한 경우에는 길한 작용을 할 수도 있는 것이다. 문제는 사주의 구조를 전체적이고 거시적인 안목에서 보는 것이다. 재성이 비록 길신이지만, 재다신약인 경우와 인성이 용신인 경우에는 최악의 흉성이 되는 것이다. 누가 정관을 무조건 길하다고 하는가? 비겁이 용신인 사주에서는 흉한 작용을 하는 것이다. 누가 인수를 길하다고 하는가? 신강하여 상관을 용신으로 할 때 인수가 있으면 病神으로 돌변하는 것이다. 누가 식신을 길하다고 하는가? 재다신약한데 식신이 있다면 최악의 흉성이 될 것이다. 누가 칠살을 흉하다고 하는가? 양인이 나쁜 작용을 할 때 칠살이 있다면 그처럼 좋은 수가 없는 것이다. 누가 편인을 나쁘다고 하는가? 신약할 때는 편인도 생기의 근원이 될 수 있는 것이다. 누가 양인을 흉하다고만 하는가? 칠살이 있어 신약할 때 양인은 최고의 효용을 발휘하는 것이다.
② 宮 - 년주는 부모와 조상을 대표하는 宮이다. 따라서 年柱에 희·용신이 있으면 부모덕이 있고 유산이 있다고 본다. 이와 반대로 년주에 기신이 있으면 조상이나 부모의 은혜가 많지 않다. 月柱는 부모 및 형제를 보는 궁이다. 따라서 월주에 희·용신이 있으면 부모 형제의 덕이 많다. 이와 반대로 월주에 기신이 있으면 부모형제의 도움이 별로 없고 자수성가 하여야 한다. 日支는 배우자 궁이다. 따라서 일지가 희·용신이면 남편이나 부인을 잘 만난다. 이와 반대로 일지가 기신이면 배우자가 시원치 않다. 특히 남자의 경우 일지가 비겁이면서 기신이면 배우자와 이별할 가능성이 많고, 여자의 경우 일지가 상관이면서 기신이면 남편덕이 없고 생리사별할 가능성이 많다. 이것은 배우자를 대표하는 육신인 남자는 재성, 여자는 관성을 배우자 궁에 대입했을 때, 배우자를 뜻하는 육신이 일지의 오행에 의해 극을 당해 무기력하게 되기 때문이다. 時柱는 자녀궁이다. 시주가 일간의 희·용신이면 자녀가 총명하고 출세하며 효성이 지극하다. 이와 반대로 시주에 기신이 있으면 자녀가 없거나 변변치 않고 불효하다. 남자의 경우 관살은 자식을 대표하는 육신이다. 따라서 시주에 식상이 있고 그 식상이 기신이면 자녀에게 의지하기 힘들다. 그러나 시주에 있는 식상이 희·용신이면 그렇지 않다. 여자의 경우 시주에 인성이 있고 인성이 기신이면 자녀에게 기대할 필요가 없다. 그 이유는 자녀를 대표하는 육신인 식상이 자녀궁인 시주의 인성에게 극을 받아 무력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인성이 희용신인 경우에는 그렇게 속단하지 않는다. 宮을 볼 때는 특히 지지의 沖을 참고해야 한다. 일지와 월지가 충하면 고부간의 갈등이 있다. 이것은 일지는 배우자 궁이고 월지는 모친 궁이기 때문이다. 일지와 시지가 충이 되면 배우자와 자녀 모두에게 도움이 안된다. 자녀궁과 배우자궁이 충돌하기 때문이다. 일지를 충하면 부부간에 이별할 가능성이 아주 많다.
③ 運 - 大運과 限運을 가지고 육친을 판단한다. 어렸을 때는 부모에 의지한다. 어렸을 때의 길흉화복 및 육친에 대한 판단은 부모궁인 년주와 월주를 가지고 판단함과 동시에 어렸을 때의 대운에 희신·용신이 오면 부모의 도움이 크다. 중년운은 일지와 대운을 보아서 희신·용신이 있으면 길하다고 판단한다. 노년에는 자녀궁을 보고 노년기의 대운을 참조한다.
제2절 祖上을 보는 법
현대사회는 핵가족 제도가 보편화되어 있다. 그러므로 옛날과는 달리 부부가 중심이 되고, 부모와 자녀는 따로 살고 있다. 부부가 있고 나서 비로소 자녀가 생기고, 자녀가 있고 나서 부모가 있다. 따라서 반드시 부부를 먼저 보아야 한다. 왜냐하면 부부는 육친 중에서도 가장 가깝게 지내며 길흉을 함께 나누는 관계이기 때문이다. 자녀는 품안에 있을 때만 나의 영향력 아래에 있는 것이고, 부모는 내가 결혼하여 분가하여 독립하기 전에만 운명에 영향을 미친다. 하물며 조상과 형제의 문제에 대한 판단은 더욱 적중율이 떨어지는 것이다. 형제와 조상을 보는 법은 많지만 현대인에게는 관심 밖의 영역일 뿐이다. 년주에 희용신이 있으면 조상이 부귀했고 조상의 유산이나 조상의 직업을 계승하거나 조상과 인연이 깊다고 판단하면 된다. 비겁이 기신이면 형제나 친구덕이 없고 비겁이 용신이면 형제덕과 친구덕이 있다.
제3절 부모를 보는 법
印星은 母星이다. 財星은 父星이다. 정통적인 이론에서 정인은 모친, 편재는 부친이다. 월간은 부친이고, 월지는 모친이다. 년간 역시 부친 또는 조부의 궁이 된다. 위와같은 星과 宮을 보는 동시에 어릴 때의 운을 참작하여 부모의 부귀빈천을 측정한다.
① 부모가 부귀한 경우
재·관·인이 월주에 집결되어 있으면서 동시에 희·용신에 해당하면 부모가 부하거나 귀하다.
인성이 용신이면서 천간의 인성이 바로 밑의 지지에서 인성 자신의 녹을 깔고 앉으면(예컨대 년간에 甲의 인성이 있고 용신인데 년지에 甲의 녹인 寅이 있는 것) 부모가 영예를 누린다.
희·용신이 월주에 집결되면 부모의 도움이 크다.
월간은 희·용신인데 월지가 기신이고, 월지의 역량이 월간보다 크면 부모의 유산을 얻기 힘들다.
② 부모가 빈천하거나 부모의 도움을 받지 못하는 경우
재·관·인이 월주에 있고 기신이면 부모가 가난하거나 천하다.
기신이 월주에 집결되어 있으면 부모의 도움이 없다.
월지 또는 정인이 충극을 받으면 부모의 유산이 없다.
월간에 재성이 있는데 약하고 비견, 겁재가 재성을 극하면 부모의 유산이 없다.
인성이 용신을 파괴하면 부모 때문에 고생한다.
③ 부모의 총애를 받는 경우
인성이 월지에 있으면서 희용신에 해당되면서 어릴 때의 대운이 좋으면 부모의 총해를 받고 부모덕이 있다.
④ 부모의 강약을 판단하는 법
재가 많고 인성이 적으면 부는 강하고 모는 약하며 모친이 먼저 사망한다.
인왕재약하면 母强父弱하다.
인성이 왕하고 재성이 없으면 부선망하고, 이와 반대로 재성이 왕하고 정인이 약하면 모선망한다.
⑤ 부모의 수명을 아는 법
재성에 대해 억부가 적절하면 부친이 장수한다.
천간의 재성이 장생의 십이운성을 좌하면 부친이 장수한다.(예컨대 壬의 재성이 申을 깔고 앉으면, 申은 壬의 장생지다)
인성이 억부가 적당하면 모친이 장수하고, 인성이 그 자체의 장생을 깔고 앉으면 모친이 장수한다.
재성은 부친을 뜻하는 별이다. 그러므로 재성이 약하고 비겁이 많으면 반드시 부친이 일찍 죽는다.
재성이 비겁에 의해 극을 받거나, 재성이 없는데 어릴 때의 대운이 불길하면 부친이 모친보다 일찍 죽는다.
재성이 충을 당하면 부친이 일찍 죽는다.
재성이 천간에 있고 약하면서 재성의 입장에서 볼 때 死·絶의 십이운성을 깔고 앉으면 극부한다.
인성은 모친의 별이다. 그러므로 인성이 쇠약하고 재성이 왕하면 반드시 극모한다.
인성이 심하게 충을 당하면 극모한다.
인성이 천간에 있고 약한데 死絶을 깔고 앉으면 모친이 일찍 죽는다.
인성이 용신인데 인성이 극을 받으면 모친은 현명하지만 일찍 죽는다.
월지가 칠살이고 상문살과 조객살이 있으면서 월지가 기신이면 일찍 부모가 죽거나 부모가 병이 많다.
칠살 또는 양인, 겁재가 월주에 집결되고 인성이 없으면 부친은 있지만 모친이 없을 징조다.
재가 왕하고 인성이 없으면 모친이 먼저 죽고, 이와 반대면 부친이 먼저 죽는다.
편재가 공망이면 부친이 병약하고, 정인이 공망이면 모친이 병약하다. 이런 현상이 월주에 나타나면 일찍 부모를 여의거나 부모가 단명한다.
편재가 운에서 絶하면 부친이 죽고, 정인이 운에서 絶하면 모친이 죽는다. 絶이란 극을 받는 것과 같은 연고이다.
월주가 지배하는 限運에 왔을 때 운의 충극을 받으면 31세 이전에 부모가 죽을 우려가 있다.
胎元이 ① 사주의 어떤 한 주와 상충이 되거나 ② 년지 또는 월지와 형이 되거나 ③ 인성 혹은 재성이 태원의 지지이면서 공망이 되면, 부모가 일찍 죽을 가능성이 있다.
사주에 두 개 이상의 고신살(남자의 경우)이나 과수살(여자의 경우)이 나타나면 부친이나 모친을 5세 이전에 잃는다.
여자의 사주에 양인·겁살·망신살이 있고 합이 되면 부모에게 불리하다.
己 丙 丁 戊
亥 午 巳 申
고 양 망 역
신 인 신 마
겁
살
이는 여자의 사주다. 여자의 사주에서 양인·망신·겁살이 있으면 合이 되면 더욱 흉하다. 년월이 합이 되면 특히 부모에게 불리하다.
⑥ 부친과 불화하는 경우
재성이 일간의 바로 옆에 붙어 있으면서 相衝이 되면 부친과 불화하다. 예컨대 庚일간인데 월간에 甲이 있으면 甲庚衝이 되어 부친과 불화하다. 특히 편재의 경우에 확실하다. 재다신약은 부친과 불화하고, 재성이 기신이면 부친과 불화하다.
⑦ 부친의 성격을 아는 법
재성이 스스로의 양인을 좌하면(예컨대 壬일주인데 년간이 丙편재이고 년지가 午이면 년지 午는 丙의 양인이다. 재성이 그 자신의 양인을 깔고 앉은 형상이다) 부친의 성격이 흉폭하다.
재성이 녹을 깔고 앉으면 부친은 성품이 충후하다.(예컨대 庚일간인데 년간이 甲이고 년지가 寅인 경우)
⑧ 모친의 성격을 아는 법
인성이 그 자신의 양인을 깔고 앉으면 모친이 성격이 난폭하다.
인성이 그 자신의 녹을 깔고 앉으면 모친의 성격이 충후하다.
인성이 용신이면 모친이 현명하고 자비스럽다.
제4절 형제·자매·친구를 보는 법
형제·자매·친구는 비겁과 월주를 가지고 판단하고, 중년운을 참작한다.
① 형제가 많은 경우
일간이 월지에 통근하고 비겁이 많은 사주는 형제가 많다.
일간이 월지에 통근하고 비겁이 바로 밑의 지지에 장생, 녹, 제왕을 깔고 앉으면 형제가 많다.
형제의 숫자를 계산하는 법은 충극합이 되지 않는 전제하에서 천간이 있는 비견이나 겁재는 두 명으로 계산하고, 지지의 경우에는 지장간 하나에 한 명씩으로 계산한다. 명궁의 천간과 지지에 비겁이 있으면 한 명씩으로 계산한다. 공망이 된 주에 있는 것은 한 명을 감산한다. 이렇게 하여 합한 숫자가 형제의 숫자다.
일간이 신약하고 비겁이 없으면 인성의 숫자로 형제를 계산한다.
비겁이 억부가 적당하면 형제가 많고, 일간이 신약해도 월지가 인성이면(인성이 희·용신이면) 형제가 많다.
② 형제가 적은 경우
비겁이 억부가 적당치 않으면 형제가 적다.
③ 형제가 온전치 못한 경우
칠살이 중하고 일간이 약하고 制化가 없으면 형제가 온전히 못하다.
비겁이 충·극을 받으면 형제가 온전치 못하다.
비겁이 공망이면 형제·자매가 없다.
비겁이 용신인데 극을 받으면 형제와 일찍 사별한다.
월지에 관살이 득령하면 형제가 온전하지 못하다.
④ 형제·자매·친구의 도움을 받는 경우
비겁이 희용신이면 형제·자매·친구의 도움을 받는다.
일간이 약하고 칠살이 왕성한데 식상이 없거나 칠살이 중첩되고 인성이 없을 때, 겁재가 칠살을 합하여 칠살의 난동을 억제하면 형제·자매·친구의 도움을 얻는다.
일간이 약한데 인성은 없고 비겁으로 일간을 돕는 경우에는 부모의 도움을 얻지 못해도 형제·자매·친구의 도움을 얻을 수 있다.
비겁으로 희용신을 삼고 싶지만 사주에 비겁이 없으면 형제의 도움을 얻지는 못하고 친구의 도움을 얻는다. 왜냐하면 사주는 선천적인 환경이고, 운에서 오는 것은 후천적인 조건이기 때문이다. 혈연으로 맺어진 형제는 없어도 후천적인 사회생활에서 친구의 도움을 받을 수 있는 것이다.
비겁이 득시하면 형제가 발달한다.
⑤ 형제·친구의 도움을 받지 못하는 경우
사주에 비겁이 없으면 형제의 도움을 받지 못한다.
관살이 득지하고, 사주에 비겁이 없고 인성이 왕한 자는 형제는 있어도 도움을 받지는 못한다.
일간이 월지에서 쇠·사·절·태·병의 십이운성을 만나면 형제와 인연이 없다.
사주의 비겁이 충극을 당하면 형제와 불목하고 병약하다.
⑥ 형제·친구로부터 피해를 당하는 경우
비겁이 용신을 파괴하면 형제 친구로부터 피해를 당한다.
식신이 지나치게 칠살을 제압하여 제살태과의 형국인데 비겁이 식신을 생해주면 형제·친구 때문에 손해를 본다.
비겁이 기신이면 형제 때문에 피해를 본다.
정관이 약하고 상관이 강한데 비겁이 상관을 생해주면 형제·친구 때문에 손해를 본다.
재성이 약하고 비겁이 왕하여 식상을 용신으로 하는데 인성이 있어서 식상을 파괴하고 비겁을 생하면 형제 때문에 피해를 본다.
일간이 왕하고 중년에 비겁운이 오면 형제끼리 불목하여 소송을 하거나 친구 때문에 재산을 잃는다.
⑦ 형제가 화목한 경우
비겁이 많지도 적지도 않고 적당하면 형제끼리 존경하고 사랑한다.
일간이 약하고 비겁이 도우면 형제가 화목하고 서로 돕는다.
재성이 약하고 비겁이 왕성한데 식상이 있어서 겁재를 化하여 재성을 생하게 만들면 형제끼리 쟁탈전이 발생하지는 않는다.
재성이 약하고 비겁이 있는데 관성이 비겁을 제압하면 형제가 서로 존경하고 사랑한다.
⑧ 형제가 불화한 경우
비겁이 양인을 깔고 앉으면 형제의 성격이 흉폭하고 불목한다.(예컨대 丙일간인데 년간이 丙이고 년지가 午인 경우)
재관이 약하고 비겁이 강하면 형제끼리 불화한다.
⑨ 형제의 흥망성쇠를 아는 법
비겁이 용신에 의해 파괴되면 자기는 흥하고 형제는 망한다.
용신이 월지를 파괴하면 자기가 강하고 형제는 약하며, 월지가 용신을 파하면 형제가 자기보다 강하다.
비겁이 용신을 파괴하면 형제는 흥하고 자기는 망한다.
월지와 일지가 刑이 되면 처자와 형제가 불화하다.
월지가 관살이고 일간이 약한데 비겁이 없는 사주에, 칠살운으로 행하면 형제가 감옥에 가서나 소송사건에 휘말린다.
⑩ 남녀를 막론하고 비겁이 너무 많으면서 충·극·합이 되지 않으면 반드시 부친과 불화하고 부친이 일찍 죽는다.
제5절 부인을 보는 법
부인을 볼 때는 재성과 일지를 보고 중년의 대운을 참작한다.
① 부인이 많은 경우
일간이 신강하고 재성 역시 강하면 부자가 되면서 처첩이 많다.
② 처첩이 현명하고 아름답고 내조가 많은 경우
재성 혹은 일지가 희용신이면 처덕이 있다.
일지가 재성 또는 정관이면서 희용신에 해당되고, 재성과 일지가 모두 희용신이면 반드시 처로 인해 부귀한다. 단, 용신이 유력해야 한다.
재성이 일지에 없어도 재성이 희용신이고 식상이 재성을 생하면 처가 아름답고 현숙하다.
일지가 희용신이고 일지와 재가 서로 장애가 되지 않으면 처가 내조를 잘한다.
재성이 희용신인데 비겁이 재성을 극하면 처가 현명하고 아름답지만 일찍 죽는다.
처궁인 일지가 기신일지라도 다른 지지와 합화하여 희신으로 변화하면 반드시 처의 내조가 크다.
일지가 희용신인데 충을 받으면 처가 현숙하고 아름답지만 해로하기 힘들다.
조후가 필요한 사주에 일지가 조후용신이면 반드시 처의 내조가 있다.
일지가 정관이고 용신이면 처첩의 용모가 품위있고 성격이 온화하다.
일지가 정인이고 용신이면 처첩이 현숙하고 유력하다. 단, 재성과 인성이 서로 장애가 되지 않아야 한다. 장애가 되는 것이 무엇인가는 격국의 순용과 역용을 참조한다.
일지가 식신이고 용신이면서 사주에 편인이 없으면 처첩의 신체가 비대하다.
남자가 신강하고 재성 역시 왕성하면 부귀하고 처첩이 많다.
일지가 子·午·卯·酉이면 대체로 처가 용모가 아름답다. 일지가 寅·申·巳·亥이면 대체로 처가 돈후하고, 일지가 辰·戌·丑·未이면 처가 평범하다.
③ 처첩으로 인해 재앙을 만나는 경우
재성이 기신이거나 일지가 기신이면 처로 인해 화를 당한다.
일지가 희용신을 충거하거나 합거하면 처가 추악하고 처로 인해 형벌을 받는다.
인성이 용신인데 재성이 인성을 파괴하면 처로 인해 화를 당한다.
칠살이 강하고 일간이 약하여 인성을 용신으로 삼는데 재성이 인성을 파괴하면 악처를 만난다.
일지가 다른 지지와 충하면 배우자가 병이 많거나 일찍 죽는다.
재성이 도화·목욕에 해당하는 지지이거나, 재가 합화하여 기신으로 변하면 처첩이 다른 남자와 간통한다.
일지에 칠살이 있고 기신이면서 충을 당하면 처가 포악하고 부부 불화한다.
일간이 강하고 재가 쇠약한데 일지에 양인이 있고 식상이 없으면 처로 인해 재산이 없어지거나 극처한다.
신약한데 일지에 칠살이 있으면 처가 어리석고 졸렬하다.
癸巳日과 丁亥日에 난 사람은 처가 병을 앓거나 음란하다.
천간에 合이 많으면 부부의 인연이 변한다.
양인이 많으면 부부가 생리사별한다.
남자 사주에 정재와 편재가 섞이면 부부 불화하고 그 남자 자신이 여색을 밝힌다.
남자 사주에 재성이 도화와 동주하거나 재성이 투합하면 부인이 간통한다.
남자 사주에 득시하고 인성이 많고 재가 약하면 고부간에 불화한다.
남자 사주에 월지와 일지가 충하면 고부간에 갈등이 심하고, 일지와 시지가 충하면 처자와 인연이 없다.
남자 사주에 정재가 공망이면 본처와 생리사별한다. 그런데 사주에 재성이 두 개 이상이면서 그 중 한 개가 공망이면 이혼하고 다른 여자와 결혼한다. 정재가 한 개뿐이고 일지나 월지에 있는데 공망이 되면 상처한다. 편재가 그렇다면 처가 병이 있거나 몸을 다쳐 병신이 될 우려가 있다.
재다신약이면 처덕이 없고, 처로 인해 또는 여색으로 인해 재산이 사라진다.
남자 사주에서 비겁이 정재와 합하면 처가 간통한다.
④ 처의 수명을 아는 법
천간 네 개가 모두 같은 오행(비겁)이면 극처한다.
사주가 모두 陽이고 편인이 중첩되면 극처한다.
재성이 약하고 비겁이 많으면서, 관살이나 식상이 없으면 극처한다.
재다신약이고 비겁이 없으면 극처한다. 재다신약에는 비겁이 용신이다. 옛날의 사주에서 용신을 자식으로 보고 용신을 생해주는 것을 처로 보았다. 만약 비겁이 용신이면 인성은 용신인 비겁을 생해주는 것이므로 처가 된다. 재가 강하면 인성(처)를 극하므로 비겁이 재를 제압하지 않으면 역시 극처하기 때문이다.
비겁이 중하고 재성이 경한데 식상이 있어서 재를 생조하는 경우에 인성이 있다면, 인성이 재성을 부양하는 식상을 파괴하면서 재성을 파괴하는 비겁을 강화시킴으로써 결국 재성을 극하게 만든다. 그러므로 처가 흉사할 위험이 있다.
일간이 강하고 재성이 약하고 비겁이 많고 관살이 쇠약하면 처가 아름답지만 일찍 죽는다. 관살이 무력하여 비겁을 제압하지 못하므로 처가 아름답지만 일찍 죽게 된다.
일간이 약하고 재가 많으면서 일지에 재가 있다면 처덕이 없고 처가 병이 많고 심하면 일찍 극처한다.
신강하고 일지에 양인이 있으면 처가 병이 많거나 죽는다.
일지가 칠살이고 충이 되면 처가 병이 많거나 악사한다.
재가 약하고 재성이 바로 밑의 지지에 재성의 死·墓·絶을 깔고 앉으면 극처한다.(예컨대 辛일주인데 甲申月인 경우)
남자 사주에 재성이 入墓하면 처가 먼저 죽는다.(예컨대 庚일주인데 乙未月인 경우에 未는 木의 庫임)
⑤ 처가 장수하는 경우
재성이 충극을 당하지 않으면 처가 장수한다.
재성이 스스로의 장생을 깔고 앉고 충극이 되지 않으면 처와 해로한다.(예컨대 己일주인데 壬申月인 경우)
⑥ 부인과 불화하는 경우
일지가 칠살이고 기신에 해당하면 처가 포악하므로 부부불화.
일지가 기신이면 부부 불화.
일지가 충을 당하면 부부불화.
재성이 스스로의 양인을 깔고 앉으면 처가 난폭하므로 불화.
월지는 혼인궁이고 일지는 배우자 궁이다. 월지와 일지가 刑 또는 沖하면 혼사가 순조롭지 못하고 결혼생활에 만족하지 못하며 감정적인 충돌이 생긴다.
⑦ 처첩이 부정한 경우
재성이 희용신인데 일주 이외의 다른 간지와 합하여 기신으로 변화하면 처첩이 부정하다.
재성이 천간에 있고 일주 외의 다른 비견과 쟁합하면 처가 부정하다.
⑧ 처가 산액이 있거나 다병한 경우
일지가 양인이면서 시주에 편인이 있으면 처에게 산액이 있다.
일지의 본기가 칠살이면서 일지의 지장간에 편인이 있으면 처에게 산액이 있거나 자식이 많지 않거나 처의 월경이 고르지 않다.
재다신약인데 일지에 재가 있으면 처가 병이 있거나 일찍 죽는다.
재성이 약하고 식상이 없는데 관살이 왕성하고 인성까지 있으면 처가 병약하다.
일주가 왕하고 일지에 양인이 있으면 처가 다병하거나 죽는다.
일지가 십이운성의 병에 해당되면 처가 몸이 약하고 게으르다.
⑨ 처와 소실의 주도권을 아는 법
편재가 강세를 이루면 소실이 본처를 누른다.
편재가 천간에 있고 정재는 지지에 있으면 소실이 본처를 이긴다.
정재가 왕성하면 본처는 소실을 용남하지 않는다.
편재가 중첩되면 소실을 사랑하고 처를 미워한다.
⑩ 처의 형제 유무를 아는 법
일지가 비겁이면 처첩에게 형제 자매가 있다.
⑪ 처가 남편을 이기는 경우
신약하고 칠살이 왕성한데 재성이 칠살을 생하면 처첩이 자기를 이기려 들고 혹은 공처가가 된다.(남자의 사주에서)
제6절 남편을 보는 법
여자의 사주에서 관살은 남편의 별이고 일지는 남편궁이다. 여기에 중년의 대운을 참작하여 남편에 관한 사항을 판단한다.
① 남편의 영고성쇠를 아는 법
관살이 왕성하고 용신이 되면서 손상됨이 없으면 남편이 귀히 되고 그녀 자신 역시 귀부인이 된다.
관살이 태왕하고 비겁이 약한데 식상이 있어서 관살을 극하여 비겁을 구출하는 경우에, 식상이 유력하면 남편이 영화롭고 반대로 식상이 부족하면 남편이 쇠퇴한다. 이는 용신이 남편을 뜻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관살이 태왕하고 비겁이 없고 인성이 있어서 살인상생하는 경우에 인성이 유력하면 남편이 발달하고 인성이 무력하면 남편이 쇠퇴한다.
관살이 태약하고 식상이 있어서 관살을 파괴하므로 재성을 써서 식상생재, 재생관을 하는 경우에, 재성이 유력하면 남편이 발달하고 재성이 무력하면 남편이 쇠퇴한다.
관살이 약하고 인성이 많아서 재성을 써서 인성을 극하며 관살을 생조하는 경우에 재성이 유력하면 남편이 발달하고 재성이 무력하면 남편이 쇠퇴한다.
관살이 약하고 비겁이 많아서 재성을 써서 관살을 강화시켜 비겁을 제압하는 경우에 재성이 유력하면 남편이 영화롭고 그 반대가 되면 남편이 쇠퇴한다.
일간이 신약하고 식상이 왕하여 인성을 써서 식상을 제압하며 일간을 돕는 경우에 인성이 유력하면 남편이 발달하고 인성이 무력하면 남편이 쇠퇴한다.
일주가 왕하고 식상도 왕하여 재성을 써서 식상의 기운을 설기하여 관살을 생하는 경우에 재성이 유력하면 남편이 발달하고 무력하면 남편이 쇠퇴한다.
관살이 지나치게 많으면 이를 제압해야 하고, 관살이 지나치게 약하면 이를 생조해야 한다. 이럴 경우에 강약을 조절하는 오행이 유력하면 남편이 발달하고 그 반대로 무력하면 남편이 쇠퇴한다.
사주가 비겁으로 꽉 들어차고 관살도 없고 인성도 없으면 식상을 써서 비겁의 기운을 설기해야 한다. 이때 식상이 유력하면 남편이 발달하고 식상이 무력하면 남편이 쇠퇴한다.
사주에 인성이 꽉 차고 관살도 없고 식상도 없어서, 재성을 써서 인성을 극해야 하는 경우에 재성이 유력하면 남편이 발달하고 무력하면 쇠퇴한다.
日支(夫宮)가 희용신이면 남편이 발달하고 일지가 기신이면 남편이 쇠퇴한다.
여자의 사주에서 지지에 칠살이 있는데 그 지지가 일간의 장생이 되면 귀한 남편을 얻는다. 예컨대 戊일간이 寅을 만나고 庚일간이 巳를 만나는 것이다.
② 부부의 감정이 친밀한 경우
여자 사주에 희용신이 일지에 있으면 부부의 감정이 잘 융화된다.
여자 사주에 관살이 희용신이면 부부의 감정이 친밀하다.
여자 사주에 정관만 있고 칠살이 없는 것, 또는 정관과 정인이 천간에 있으면 부부가 서로 사랑한다.
여자 사주에 정관이 희용신이고 일간이 그 정관과 합하면(음일간은 정관과 합) 부부 감정이 친밀하다.
③ 부부가 불화하는 경우
여자 사주에 일지가 칠살이고 일간이 신약하거나, 혹은 신약하고 관살이 왕하면서 식상이 없어서 강한 관살을 제어하지 못하면 남편이 흉폭하다.
여자 사주에 정관이 기신이면 부부 불화하다.
여자가 관살혼잡이 되면 반드시 남편이 심리적인 동요가 심하고 안정을 찾지 못한다.
여자 사주에 칠살이 그 자체의 양인을 좌하면 남편이 악독, 포악하다.
여자가 일지가 편인이면서 또 기신에 해당되면 부부 불화하여 좋은 남편을 얻지 못한다.
일지가 칠살이거나, 칠살이 왕성하고 정관이 없으면 부부불화하다.
여자가 일지가 충이 되면 부부 불화하다.
여자가 신약하고 관살이 중첩되면 남편으로부터 기만당한다.
여자가 재가 많고 관살이 있으면 남편에게 권리를 빼았긴다.
일시에 辰戌의 沖이 되면 남편이 소실을 둔다.
여자가 식상이 지나치게 많고 도화(子·午·卯·酉)가 두 개 이상이거나, 또는 도화도 있고 칠살도 있으면 호색음란하다.
④ 남편의 수명을 아는 법
관살이 그 자체의 長生을 깔고 앉으면서(예컨대 년간 壬이 관살인데 년지가 申인 것) 식상의 극을 받지 않으면 남편이 장수한다.
관살 또는 일지(남편궁)가 충·극을 받거나 관살이 심하게 설기 당하는 것(이것은 인성이 많고 재성이 없는 경우)이면 남편이 요절한다.
관살이 식상으로부터 이중삼중으로 극을 받으면 반드시 剋夫한다.
관살 또는 일지가 충이 되면 극부한다. 대운· 유년이 관살 또는 일지를 충·극할 때도 극부한다.
비겁이 많고 관살이 없으면 극부한다.
관살이 미약하며 그 자체의 死絶을 깔고 앉으면 극부한다.
관살이 약하고 재성이 없고 신강하면서 상관이 강력하면 극부한다.
관살이 약하고 재성이 없고 인성이 중첩되면 극부한다.
정관이 약하고 식상이 강력하며 운에서 식상이 오면 극부한다. 단, 재성이 있어 식상생재, 재생관이 되면 오히려 길하다.
칠살이 중첩되고 강력한 식상이 없어서 칠살을 제복하지 못하면 극부한다.
夫星入墓가 되면 극부한다.
관살이 약하고 그 자체의 사절지를 좌하면(예컨대 년간 甲이 관살인데 년지가 申이면 申은 甲의 절지임) 남편이 병약하다.
일지에 칠살이 있고 신약한 것, 칠살이 왕성하고 정관이 없는 것은 原配(부부 쌍방이 초혼으로 만난 것)가 되지 못하거나 부부 이별한다. 여기에 충까지 있다면 사망의 위험이 있다. 반면에 칠살이 합이 되면 오히려 길하다.
정관은 첫남편을 뜻한다. 정관이 공망되면 원배의 남편과 감정상의 충돌이 있어서 흉한 결과가 생긴다. 사주에 정관이 두 개 이상이고 그 중 한 개가 공망되면 이혼하고 재혼한다. 칠살이 공망되면 남편이 병약하다.
일지가 정관이면서 십이운성 死·墓·絶이면 불길하고 극부한다.
⑤ 남편의 바람끼를 아는 법
여자 사주에서 일주와 비견이 정관을 투합하면(음일간의 경우 비견이 정관과 합하는 것) 남편이 두 명의 부인을 거느린다. 이때 일간이 비견보다 강력하면 본인이 본처가 되고, 일간이 비견보다 무력하면 본인이 후처가 된다. 강약을 아는 법은 일간과 비견이 깔고 앉은 지지가 어떤 오행이며 생극억부는 어떠한가, 십이운성은 어떤가에 의해 판단한다.
일지와 시지에서 辰戌沖이 있으면 남편이 소실을 두고 본인이 독수공방한다. 辰戌이 공망이면 소실을 두지는 않고 방을 따로 쓴다.
일지가 일간의 목욕이면 남편이 호색가다.
지지의 관성이 도화에 해당되거나, 관성이 투합하면 남편이 바람난다.
비겁이 정관과 합하면 남편이 소실을 두거나 외도를 한다.
⑥ 재가하는 여자를 아는 법
관성이 두 개 이상이고 한 개가 공망이면 이혼하고 다른 남자와 재혼한다.
천간에 두 개 이상의 관성이 있거나 지지에 관성이 세 개 이상이면 두세번 결혼한다.
관살혼잡에 재성이 많으면 남편이 여럿이므로 재가한다.
상관이 있고 인성도 재성도 없으면 재가한다.
⑦ 음란한 여자를 아는 법
여자 사주에 子와 酉가 둘 다 있거나 午와 卯가 둘 다 있으면 외간남자와 간통하고 남편을 버리고 도망갈 우려가 있다.
천간에 칠살이 있고 그 바로 밑의 지지에 도화가 있으면 도화살이 되어 음란하여 가정을 버린다.
식신이 태과한 여자는 황음하다.
子·午·卯·酉가 두 개 이상이고 합이 되면 하천하고 음란한 여자다.
관살혼잡이 되면 음란하다.
제7절 자녀를 보는 법
자녀를 보는 법은 크게 세 가지가 있다. ① 남녀를 막론하고 식상은 자녀성이고 시주는 자녀궁이다. ② 남자는 관살이 자녀성이고 여자는 식상이 자녀성이다. ③ 사주의 용신은 자녀성이다.
① 자녀덕이 있는 경우
식상이 억부가 적절하면 자식이 많다.
용신이 식상이면 자식이 많고 힘을 얻는다.
신강하고 식상이 있고 인성이 없으면 자식이 많다.
식상이 충극을 받지 않으면 자식이 있다.
신약하고 식상이 왕할 때 인성이 있고 재성이 없으면 자식이 있다.
식상이 용신이면 자식이 많고 도움을 받는다.
식상이 희용신을 도우면 자식이 출세한다.
식상이 희용신이면 자녀가 효도하고 현명하며 만년이 안락하다.
지지의 식상이 일간의 장생, 제왕, 임관에 해당되면 자식이 총명하고 영화롭게 된다.
희용신이 시주에 있으면 자식덕이 있다.
시주에 천월덕귀인이 있으면 자녀가 효도한다.
상관이 칠살 위에 있으면(예컨대 丙일간이고 己亥時인 경우) 아들이 있다.
칠살이 시주에 있고 사주에 식상이 있어 칠살을 제복하면 자식이 귀히 된다.
식상이 귀인과 동주하면 자녀가 잘 생기고 총명하고 부귀한다.
남자 사주에 관성이 왕성하면 일찍 득자하고 관살이 용신이고 힘이 있으면 귀자를 둔다.
칠살이 시주에 있고 용신이 되거나 또는 합이 되거나 제복함이 있게 되면 길하다.
② 자녀가 없거나 있어도 도움이 안되는 경우
자녀가 없는 것은 대부분 자녀성이 태과하거나 불급하고, 혹은 조후가 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신약하고 식상이 꽉 차면 무자.
신약하고 비겁이 없고 식상이 많을 때 인성이 없고 재성이 없으면 무자.
식상이 충극되면 무자.
남자 사주가 모두 양이면 무자일 가능성이 있다.
여자 사주가 모두 음이면 무자할 가능성이 있다.
인성이 태과하면 무자.
재관이 태왕하면 무자.
신약하고 비겁이 없고 식상이 약한데 인성이 중첩되면 아들이 없다.
신약하고 비겁이 없고 식상이 약한데 재성이 중첩되면 무자.
신약하고 비겁이 없고 식상이 경한데 관살이 중첩되면 무자.
신약한데 천간에 한두 개의 비겁이 있고 식상이 없으면 자식을 두기 어렵다. 여자의 경우 특히 그렇다.
火炎土燥면 無子.
水氾木浮면 無子.
金寒水冷이면 無子.
신강하고 인성이 중첩되고 식상과 재가 없으면 무자.
칠살이 태과하고 제복하지 못하면 무자.
시지 또는 식상성이 고신·과수살과 동주하면 고독한 운명이므로 자녀가 없고 있다고 해도 도움을 받지 못한다.
일지와 시지가 상형하면 극자할 우려가 있다.
자녀성(식상 또는 관성)이 그 자체의 死絶을 좌하고 형충이 겹치면 극자하지 않으면 자녀덕이 없다.
식상이 용신을 파괴하면 자녀가 적거나 자녀덕이 없다.
신강하고 식상이 경하고 인성이 왕하면 자녀가 적다.
신약하고 식상이 중하고 인성이 경하면 자녀가 적다.
기신이 시주에 모이면 자녀덕이 없다.
식신과 편인이 모두 있고 편인이 왕성한데 식신이 한 개뿐이면, 극자하거나 후손이 끊어진다.
인성이 세 개 이상 있고 식신이 한 개 뿐이면 자녀가 한 명이면서 요절할 가능성이 많다.
식상이 入墓하면 극자한다.
일지와 시지가 충하면 30-45세 사이에 자녀가 죽거나 자녀와 이별할 우려가 있다.
申日亥時와 巳日寅時는 자녀가 없거나 자녀가 요절할 우려가 있다.
일주가 심히 왕하고 관살이 공망이 되면서 상관과 겁재가 있으면 일생 고독하고 자식이 없다.
男命에 식상이 많으면 극자하며, 상관이 극도로 왕성하면 큰 아들이 죽을 우려가 있다.
시주에 고신살과 과수살이 있으면 자식이 불효한다.
시주에 편인이 있으면 자녀가 성격이 나쁘며 극자하는데 특히 편인이 기신이면 틀림없다.
시지 또는 식상이 도화에 해당되면 자식이 호색한다.
시주에 화개가 있으면 고독하거나 조객살에 해당되면 자녀를 극한다.
甲子日이 甲子時를 만나면 자녀가 요절할 우려가 있다. 이는 자녀성인 관살 庚金이 子에서 死하는 까닭이다.
사주에 자녀성이 없어도 왕성한 자녀성의 운이 오면 자녀를 낳을 수 있다.
남자 사주에 식신이 공망이면 아들이 적다. 식신이 용신인데 공망이면 자녀가 요절한다. 식신의 유년이 올 때 용신이 유년 지지에서 공망되어도 그러하다.
여자 사주에 식신이 공망과 동주하면 자식을 늦게 낳고 양육하기 힘들다. 식신이 용신인데 공망이 되면 유산하거나 자녀가 요절한다. 식신이 용신인데 식신 유년이 오고 유년 지지가 공망되어도 역시 그러하다. 공망은 합이 되면 해소되므로 그렇게 판단하지 않는다.
여명에 상관이 공망과 동주하면 극자하거나 아들을 낳기 어렵다. 그러나 귀인과 동주하거나 공망이 합하면 그렇지 않다.
남명에서 칠살이 그 자체의 십이운성 死를 좌하면 아들이 없다. 관살이 입묘해도 그러하다.
남명에서 관살이 辰·戌·丑·未의 지장간에 들어 있으면 소실을 통해서 아들을 낳는다.
관살이 辰·戌·丑·未의 지장간 안에 들어 있고 辰·戌·丑·未가 일간의 庫가 되면 자식이 없다. 그러나 관살이 천간에 투출되면 그렇지 않다. 이 경우에 대운이나 유년이 와서 庫를 沖하면 소실을 통해서 자식을 낳는다.
시지가 死·墓·絶인 남녀는 자녀를 극하고 심하면 대가 끊어진다.
식상이 墓·絶을 좌하면 자녀를 극하고 심하면 자식이 없다.(여자의 경우)
남자 사주이고 일간이 양이면 칠살이 아들, 정관은 딸이다. 음일간 남자는 칠살이 딸이고 정관이 아들이다.
남자 사주에서 관살은 자녀성이다. 관살을 시지의 십이운성에 대입하여 아들의 숫자를 판단하는 古法이 있다. 관살이 시지의 십이운성에서 長生이 되면 四子, 沐浴 二子, 冠帶 三子, 帝旺 五子, 衰 二子, 病 一子, 死 無子, 墓庫 無子, 絶 一子, 養 三子라고 하였다. 참고할 일이다.
제8절 자녀보는 법 實例
戊丙壬丁
戌子寅酉
남자 사주다. 시지에 무술의 식신이 강력하여 칠살을 제압한다. 양일간의 남자는 칠살이 아들인데 식신이 칠살을 제압하므로 아들이 없다.
壬辛庚乙
辰亥辰酉
男命. 재성이 겁재와 합하고, 시주에 상관이 있으니 자식이 않을 자리에 송곳을 박아 놓은 형상이다. 50이 되도록 결혼도 못하고 자식도 없이 돈이 없어 시집간 여동생네 집에서 기거하고 있는 남자의 사주다.
丁甲己壬
卯辰酉子
남자 사주. 시주에 상관이 있어서 아들이 없고 겁재가 있어서 처도 없이 40을 넘었다.
辛丁辛乙
丑巳巳酉
여자 사주. 팔자가 모두 음이고 일간이 제욍이 십이운성을 만나는 여자는 자식에게 불리하다. 이 여자는 巳의 제왕이 있고 사주가 모두 陰이다. 그러므로 아들은 없고 딸만 두었다.
己乙丙己
未未寅巳
중화민국의 사주대가 서락오 선생의 숙부의 사주다. 재다신약이므로 재성과 식상과 관살이 기신이다. 시주에 기신인 재성이 모여 있으니 자식이 없었다.
丙戊己戊
辰戌未戌
시지와 일지가 沖이 되고 사주가 火炎土燥하므로 자식이 없다.
己辛丁辛
丑未酉未
여자 사주. 사주가 모두 음이고 시지가 충하므로 딸만 넷이고 아들이 없다.
丙甲甲己
寅午戌卯
여자 사주. 18세 丙申년에 결혼하여 28세 丙午년에 시지와 合하므로 아들을 낳았다. 식신운이므로 낳았다고 보아도 좋다.
丁甲庚辛
卯辰寅卯
壬戌 유년에 시주를 합하여 아들을 낳았다.
戊己己丁
辰未酉丑
25세 辛亥년에 亥未가 合하여 木의 관살이 강해져 아들을 낳았다.
己壬丙己
酉午寅卯
두 딸이 있는데 38세 乙卯년에 아들을 낳았으니 시주를 천극지충한 까닭이다. 아들을 낳는 시기를 아는 법은 ① 용신과 희신운이 올 때, ② 시지를 합하거나 시지를 刑沖할 때, ③남자 사주에서 운이 사주의 칠살과 합하거나, 칠살이 운이 사주에 합하거나, 운이 시주 간지와 천극지충할 때이다.
丁甲庚辛
卯辰寅酉
남자의 사주에서 년간과 월간에서 하나는 정관, 또 하나는 칠살이 되어 관살혼잡이고 신약하면 자식을 두기 어렵다. 그러나 금수상관격에 관살이 조후 용신이 되는 경우와 사주의 지지에 양인이 있어 관살에 대항하는 경우는 그렇지 않다. 이 사주는 관살혼잡이 되었지만 월지에 건록이고 시지에 양인이 있으므로 관살에 대한 억부가 잘 조절되어 있으므로 자식이 출세하고 효도했다.
甲甲壬壬
子子子子
사주가 모두 陽이고 편인이 중첩되면 극처극자한다. 이 사주는 사주가 모두 양이고 편인 壬이 중첩되므로 극처극자하였다.
壬丁乙辛
子巳未巳
남자 사주. 칠살은 아들이다. 칠살 자가 공망이 되었다. 딸만 다섯이고 아들이 없다.
乙乙辛丙
酉卯卯戌
남자 사주. 칠살 유가 충이 되므로 아들이 없다.
戊戊丙甲
午子寅子
시지는 자식궁이다. 시지가 양인이고 형충이 되면 남녀를 막론하고 극자한다. 이 사주는 여명인데 아들이 없었다.
辛辛丁壬
亥卯未申
남자 사주. 亥卯未 木局이 되고 丁壬이 木이 되니 재다신약이다. 화개살과 과수살이 있으니 일생 고독하다. 44세에 결혼했으나 자식이 없었다.
丙乙乙甲
子丑亥戌
여자 사주. 여자 사주에서 식상은 자녀성이다. 식상을 월지에 대조하여 死·絶이 되면 자식을 두기 힘들다. 남자는 관살을 월지에 대조하여 死·絶이면 자식을 두기 힘들다.
⊙ 남녀를 막론하고 시지가 양인이고 충형이 되면 극자한다.
⊙ 남자 사주에서 관살이 형충되면 극자한다.
⊙ 여자 사주에서 식상이 형충되면 극자한다.